- 전시안내 |
|
천상으로 보내는 편지
이 전시회는 특히 천상병 시인이 사랑하고 아름다워 했던 이 세상에 남겨진 우리가 그가 남기고간 시들로 인해 얼마나 많은 행복과 충만한 감동을 누리고 있는지를 하늘에 있을 천 시인에게 고마움을 전하는 특별한 공간으로 꾸며진다. |
|
- 전시개요 |
|
○ 행사명칭 : 천상으로 보내는 편지 ○ 기 간 : 2007. 05. 12(토) - 05. 31(목) 제2전시관 2007. 06. 02(토) - 06. 30(토) 제4전시관 ○ 주 최 : (재)안산문화예술의전당 ○ 주 관 : 천상병시인 기념사업회 ○ 전시작품 : 천상병시인 유품 및 사진, 소장품 등 ○ 입 장 료 : 무료 |
|
○ 중견 문인과 화가 20여명의 자필 원고 및 시화 전시회와 천상병 시인의 유품 및 사진 등
|
|
- 천상병(千祥炳) 1930.1.29-1993.4.28 |
|
1930∼1993. 시인·평론가. 본관은 영양(潁陽). 호는 심온(深溫). 경상남도 마산 출신. 2남2녀 중 차남이다. 일본 효고현 히메지시(兵庫縣 姬路市)에서 태어났으며, 1945년 귀국하여 마산에서 성장하였다. 1955년 마산중학교를 거쳐 서울대학교 상과대학에 입학하였다. 43세가 되도록 독신으로 오랜 유랑생활을 하다가 1972년 목순옥(睦順玉)과 결혼하여 비로소 안정된 삶을 영위할 수 있었으며, 그 뒤 지병으로 죽기 전까지 부인의 지극한 보살핌에 힘입어 왕성한 창작활동을 보였다. 그의 문단 활동은 마산중학교 5학년 때인 1949년 7월 《죽순 竹筍》에 시〈공상 空想〉외 1편을 처음 발표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 6·25중에는 송영택(宋永澤) 등과 함께 동인지 《신작품 新作品》을 발간, 여기에 시를 발표하였다. 이어 1952년 《문예 文藝》지에 시 〈강물〉·〈갈매기〉 등으로 추천을 받았고, 1953년 같은 잡지에 평론 <사실의 한계허윤석론(許允碩論)>, 1955년 《현대문학》에 〈한국의 현역대가(現役大家)〉 등을 발표하였다. 가난과 무직, 주벽, 무절제한 생활 등으로 많은 일화를 남긴 그는 1971년 문우들의 주선으로 제1시집 《새》를 뒤늦게 발간하였다. 그뒤 제2시집 《주막에서》(1979)와 제3시집 《천상병은 천상 시인이다》(1984), 제4시집 《저승 가는 데도 여비가 든다면》(1987), 제5시집 《요놈 요놈 요이쁜 놈》(1991)을 펴냈다. 그의 시는 티 없이 맑고 깨끗한 서정을 바탕으로 하여 자연의 아름다움과 인간의 순수성을 되비쳐 보여준다. 동심에 가까운 이러한 순진성은 가난과 죽음, 고독 등 세상사의 온갖 번거러움을 걸러내고 있으며 일상적인 쉬운 말로 군더더기 없이 간결 명료하게 표현하기 때문에 친근감을 느끼게 한다. 그밖에 저서로 3인 시집《도적놈 셋이서》(1989), 시선집 《귀천 歸天》(1989)과 《아름다운 이 세상 소풍 끝나는 날》(1991), 문학선 《구름 손짓하며는》(1985), 산문집 《괜찮다 괜찮다 다 괜찮다》(1990), 동화집 《나는 할아버지다 요놈들아》(1993) 등이 있으며, 유고집으로 시집 《나 하늘로 돌아가네》(1993)와 수필집 《한낮의 별빛을 너는 보느냐》(1994)가 있다.
|